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주간미디어
- 영어일기
- 3줄일기
- 경제신문읽기
- 책추천
- 엄마성장일기
- 하고싶은거다하다
- 주간다이어트
- 육아일기
- 독서하다
- 영어공부
- 전화영어
- 넷플추천
- 혼자영어공부
- 입이트이는영어
- 독서
- 귀트영
- 3줄영어
- 일상
- Dictation
- 영어습관
- 제주일상
- 주간독서
- 주간병원생활
- 주간일상
- 귀가트이는영어
- 나의결혼이야기
- 주간운동
- 주간하다다
- 입트영
- Today
- Total
목록독서하다 (10)
Hadada_하고 싶은거 다 하다

요즘 계속 자기 계발서만 읽다 보니 새로운 자극을 위해 다른 분야의 책이 읽고 싶어졌다. 그러다 오늘의 sam에 그로운이라는 책이 지나갔다. 초록색 겉표지에 짧은 머리의 흑인여자가 그려져 있는 책을 별 기대 없이 내려받았다. 나는 외국 소설을 잘 읽지 않는다. 읽기 시작은 하지만 끝을 내본 적이 거의 없다. 등장인물의 이름 때문이다. 외국 이름이라서 읽는 중에도 계속 낯설고 나중에 등장한 인물이 누구였더라? 이러면서 결국 한 권을 다 끝내지 못한다. 그로운도 외국 서적이다. 첫 장을 펼쳤는데 등장인물 이름이 역시나 영어 이름이다. 과연 나는 다 끝낼 수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고 '이게 누구였더라' 하는 생각을 한 두 번 했는데 책이 끝나버렸다. 다 읽어 버렸다. 그리고 책 내용이 이상하게도 너..

서평 쉽게 쓰는 법/ 이혜진(다정한 어흥이) 네이버 도서 인플루언서가 알려주는 서평 쉽게 쓰는 법 역시 이 책에서도 꾸준함을 말하고 있다. 저자는 육아를 하면서 공짜 책을 받으려고 시작한 서평 쓰기를 통해 책까지 쓰게 된 분이다. 워킹맘이면서 '서른의 용기', '일상이 독서다'라는 두 권의 책을 출간하였고, 블로그 활동을 통해 전자책 쓰기, 필사 독서 모임을 운영 중이다. https://m.blog.naver.com/abigailjin?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query%3D%25EB%258B%25A4%25EC%25A0%2595%25ED%2595%259C%25EC%2596%25B4%25ED%259D%25A5%25EC%..

나는 책은 많이 읽는데 읽고 나서 기억을 잘 못하는 사람이다. 글은 쓰고 싶은데 어떻게 정리를 해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이다. 생각은 많은데 이 생각들을 어떻게 정리해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이기도 하다. 기록은 하는데 여기저기 두서없이 기록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난 이 것들을 잘 정리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전에도 메모나 기록에 대한 책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시행이 잘 안 된다. 그때는 이해하는데 막상 내가 하려고 하면 도통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겠고 처음만 따라서 잘하지 나중엔 결국 또 똑같은 내가 되고 만다. 그래서 다시 한번 기록에 관한 책을 선택했다. 어떻게 메모하고 어떻게 기록을 해야 하는지 방법을 알고 싶어서. 내가 알고 싶었던 건 단순히 방. 법. 뿐이었다. 이 책에서 방법을 알려주긴 ..

경제 지식을 쌓기 위해 이 책을 골랐다. 왜 나는 "평범한 30대 직장인 아빠가~" 이런 문구에 일고 싶단 생각이 드는 걸까? 나와 같은 처치의 사람이라고 느끼는 동질감 때문인지 이런 책이 자꾸 끌린다. 나처럼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부를 이루는지 궁금해져서 그런 것 같다. 일단 자본주의에 대해 알고 싶었다. 자본주의를 이해하면, 세상을 자본주의로 살아가는 방법을 안다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우리는 분명 자본주의 사회를 살고 있는데 정작 자본주의에 대해 경제에 대해 공부를 해본 적은 없는 것 같다. 그저 좋은 직장 들어가서 월급 생활하면서 저축하고 집하고 애 낳고 살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머릿속에 항상 넣고 살았다. 정작 월급쟁이 생활을 하지 않고 사신 나의 부모님도 왜 ..